top of page

2024년도까지 63회을 맞이한 대주제와 참여 기록

Major topic

역대 심포지엄 대주제

회차(연도)

제63회 (2024)

제62회 (2023)

​제61회 (2022)
제60회 (2021)
제59회 (2020)
제58회 (2019)
제57회 (2018)
제56회 (2017)
제55회 (2016)
제54회 (2015)
제53회 (2014)
제52회 (2013)
제51회 (2012)
제50회 (2011)
제49회 (2010)
제48회 (2009)
제47회 (2008)
제46회 (2007)
제45회 (2006)
제44회 (2005)
제43회 (2004)
제42회 (2003)
제41회 (2002)
제40회 (2001)
제39회 (2000)
제38회 (1999)
제37회 (1998)
제36회 (1997)
제35회 (1996)
제34회 (1995)
제33회 (1994)
제32회 (1993)
제31회 (1992)
제30회 (1991)
제29회 (1990)
제28회 (1989)
제27회 (1988)
제26회 (1987)
제25회 (1986)
제24회 (1985)
제23회 (1984)
제22회 (1983)
제21회 (1982)
제20회 (1981)
제19회 (1980)
제18회 (1978)
제17회 (1976)
제16회 (1975)
제15회 (1974)
제14회 (1971)
제13회 (1970)
제12회 (1969)
제11회 (1968)
제10회 (1967)
제9회 (1966)
제8회 (1965)
제7회 (1964)
제6회 (1963)
제5회 (1962)
제4회 (1961)
제3회 (1960)
제2회 (1959)
제1회 (1958)

​주제

Synthetic Biology

Metabolism

Epigenetics
Cancer
Virus
Senecence
Autoimmune Disease
Movement in Cell
Adult Stem Cell
Microbiology
Biosignaling
Aging & Senescence
LIFEOMICS: Information in Life
신경과학
후생유전학
미토콘드리아
분화와 형태형성 
운동
RNA
세포 신호전달
단백질 접힘과 질병
세포골격
인간질병 [분자적 접근]
줄기세포의 분화
지각과 기억의 생물학
질병의 면역체계
신호전달
세포주기
한 세포에서 개체도의 설계
노화
면역성의 획득과 분화
암? 그 연구의 발전과 전망
바이러스학의 현재와 미래
유해 환경과 생물
호르몬의 작용 메커니즘
신경생물학
생체 내 유전자의 발현과 조절 물질
면역학
현대 분류학의 제 문제
현대 분류학의 제 문제
생체막
발생과 분화
세포융합의 원리와 응용
빛과 생명
유전공학(세포분화와 유전자 발현)
물질대사와 조절 기작
생명의 기원
생물권과 인류
세포생물학의 제 문제
유전현상과 그 기작
진화학의 제 문제
생리기능의 해석
생태학의 제 문제
분자 생물학
암의 제 문제
발생의 제 문제
해양 생물학의 제 문제
세포의 생리, 유전진화에 대한 기작
현대 생물학의 제 문제
성의 문제
우생학의 제 문제
유전자의 기작
방사선과 생물

​참여 학교

·

51개교

44개교
37개교
·
·
·
46개교
23개교
31개교
35개교
30개교
30개교
42개교
25개교
22개교
14개교
21개교
9개교
8개교
8개교
11개교
11개교
24개교
·
·
·
·
18개교
·
·
·
·
·
·
·
·
20개교
28개교
28개교
·
·
·
·
·
·
·
·
·
·
·
·
·
·
·
·
·
·
·
·
·
·
6개교

​참여 인원

·

527명

301명

396명
·
·
·
310명
192명
181명
204명
227명
183명
308명
135명
106명
99명
116명
47명
33명
43명
68명
100여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여명

bottom of page